동북아시아
동남아시아
중앙아시아
서아시아
남아시아
아시아도시
방문학자
Search
2022년 12월 (19호)
ABOUT
SNUAC
지난호보기
2018년 6월 (1호)
2018년 9월 (2호)
2018년 12월 (3호)
2019년 3월 (4호)
2019년 6월 (5호)
2019년 9월 (6호)
2019년 12월 (7호)
2020년 3월 (8호)
2020년 6월 (9호)
2020년 9월 (10호)
2020년 12월 (11호)
2021년 5월 (12호)
2021년 6월 (13호)
2021년 9월 (14호)
2021년 12월 (15호)
2022년 3월 (16호)
2022년 6월 (17호)
2022년 9월 (18호)
DiverseAsia
동북아시아
동남아시아
중앙아시아
서아시아
남아시아
아시아도시
방문학자
동북아시아
타이완 패러독스, 세계평화를 위협하다
장영희(성균관대학교) 섣불리 대만을 손에 넣으려는 자 천하를 잃는다 전환의 시대에 대만이 전 지구적 주목을 받고 있다. 대만은 그 동안 동아시아에서 성공적인 민주화와 함께 자유와 인권 등...
근현대 일본 트랜스젠더*의 여러 얼굴
조수미(명지대학교) 일본 문화의 성의 다양성과 젠더 크로싱 일본의 도시공간에서 쉽게 눈에 띄는 ‘풍속’업소(성산업), 편의점이나 전철에서 무심하게 성인만화나 잡지를 읽는 출퇴근객, 배우가 자신의 반대 성별을 연기하는 전통예술...
우크라이나 전쟁에 대한 중국 학계의 다양한 인식
서정경(아시아연구소) 우크라이나 전쟁은 코로나19 팬데믹과 함께 미중 간 전략적 경쟁의 동학뿐 아니라 국제정치경제 질서를 변화시키는 주요한 사건으로 평가되고 있다. 문명 간 충돌, 이익 간 충돌,...
미혼 공화국 일본의 혼활 붐
“중국몽(中國夢)”을 이끄는 중국 특색의 군부 파워 엘리트: 중국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에 주목하라
역내 포괄적 경제동반자 협정(RCEP)과 포괄적·점진적 환태평양 경제동반자 협정(CPTPP)은 어떻게 체결되었나: ...
난닝(南寧), 변두리 소수민족 집거지에서 중국과 아세안(ASEAN)을 잇는 허브로
팬데믹, 아시아 종교, 그리고 새로운 존재방식의 상상
소강사회(小康社會) 선언 이후 중국은 어디로 가는가? -2020년 중국 경제 현황과 14차...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일본 경제 전망과 과제
유목민의 나라 몽골의 변화하는 정치체제 : 아시아 최초의 사회주의 국가에서...
지배와 갈등의 일본정치
중국 정치의 동학: 현대적 황제체제인가?
동북아 국제정치의 특징과 새로운 미래의 전망
글로벌 생명 헤게모니 경쟁과 대한민국: K-방역 모델이 놓친 문제들
코로나19 4개월과 중국 사회: (불)투명성과 (불)확실성 사이에서 파동하는, 사회적이고 정치적인 것으로서...
코로나19 시대, 역병 기록을 되돌아보다 – 질병의 역사학과 현재와의 대화
중국 청년세대와 신생대영화, 그 현재와 미래
한반도 평화 경제공동체 구상의 이중성: 누구를 위한 평화경제인가?
중국의 온라인 약국의 성장과 의료접근성의 증대
중국의 거대한 인구이동과 새로운 도시화의 실험: ‘사람의 도시화’를 중심으로
옌변거리에서 차이나타운, 그리고 중국국적 이주자의 모빌리티 관문으로: 대림동 이주자 밀집...
북한 비핵지대 운동의 형성과 전개
헤이세이(平成)의 끝, 레이와(令和)의 시작: 노스탤지어와 불안한 미래 사이에서
아직도 계속되는 삶의 여진: 포항지진 후 1년
북일 문화교류: 1973년 만수대예술단 일본 순회 공연 사례
『기사단장 죽이기』를 둘러싼 무라카미 하루키의 역사관 논쟁
일본군 ‘위안부’ 담론의 초국가적 구성: 초국가적 침묵과 국경을 초월한 사회화의 역사
Two Koreas, one Germany: Is the German Unification Experience becoming more...
동아시아의 새로운 민주주의: 숙의 민주주의의 현황과 미래
시진핑 시대 중국 공산당의 집단영도체제는 어디로 가고 있나?
South Korea and the PyeongChang Olympic Games: Rising Power No More
평창올림픽 이후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의 현실과 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