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쟁, 기후변화, 빈곤과 생계난, 더 나은 경제적 기회를 찾기 위한 열망… 아시아·아프리카 지역에서 이주를 촉발하는 요인은 많으며, 그만큼 난민과 이주민의 이동 현상 또한 각기각색이다. 전쟁과 환경재난을 피해 떠나온 난민과 경제적 기회를 찾아온 이주 노동자, 오랫동안 정착해온 디아스포라 공동체 모두 ‘이주’라는 한 단어로 묶일 수 있는 동시에, 한 단어로만은 정의될 수 없는 다양성을 가진다.

사람의 이동은 생활 환경과 경제적 위치가 변화한 난민과 이주민뿐만 아니라 이들을 받아들이는 수용국 사회에도 큰 변화를 가져온다.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이주가 수용국 사회에 끼치는 영향은 수용국의 정치·경제·사회적 환경과 상호작용하며, 이 과정에서 이주민에 대한 수용국 사회의 반응은 환대 또는 배척이라는 서로 다른 형태를 취하기도 한다. 한편 이주의 동역학은 새롭게 들어온 이주자뿐만 아니라 이미 이주해서 정착해 있던 디아스포라 공동체와도 관련되어 있다. 세계화와 경제적 통합이라는 변화 속에서 새롭게 나타난 이주의 동역학은 디아스포라 공동체와 송출국, 수용국 사이의 관계에도 영향을 미쳤다. 이처럼 이주와 이동은 그 원인뿐 아니라 수용국의 정치·사회·경제적 요인 또한 고려해야 하는 복합적인 현상이다.

이에 <다양성+Asia> 24호에서는 아시아·아프리카 각 지역 난민과 이주민의 이동 양상, 나아가 이를 통해 형성되는 디아스포라 공동체가 처한 다양한 상황을 살펴본다.

남아시아의 이주와 디아스포라 그리고 난민 위기

‘남아시아’는 ‘인도 아대륙’과 종종 혼용된다. 남아시아는 세계에서 가장 많은 이주자의 발원지이자 가장 많은 난민을 수용하는 지역권이다. 근대 이후 남아시아의 이주, 디아스포라, 난민 문제는 아대륙에 대한 영국 식민 지배의 역사와 밀접하다. 아대륙 사람들이 카리브해 등 세계 도처로 이주해 디아스포라를 형성한 것도 ...

중앙아시아 고려인 장례문화에 나타난 ‘전통의 고수’와 ‘동화’ 사이의 혼종성

고려인들은 일반적으로 민족정체성 형성의 중요한 요소로 여겨지는 전통 종교와 언어를 소유하고 있지는 않지만, 지금까지 강한 민족정체성을 유지해 왔다. 이들이 민족정체성을 유지할 수 있었던 요소 중 하나는 전통 생활문화를 지켜온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중 대표적인 것이 장례문화이다.

디아스포라와 아시아 자본주의: 중국과 한국의 경험

1980년대 이후, 경제 발전을 우선 순위로 삼은 아시아 국가들은 국경과 시장을 개방하여 노동력과 자본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고자 했다. 이 과정에 일부 국가는 해외 디아스포라를 경제 발전의 중요한 자원으로 활용했다. 디아스포라 구성원들 또한 민족적 고국을 자신의 경제적 지위를 개선할 수 있는 기회로 인식했다.

방문학자

유령도시에서 벗어나기: 중국의 도시 건설 과정과 지역시민권의 구성

최근 중국의 경제위기설은 부동산 시장의 침체와 맞물리며 빈집 문제를 다시 소환하고 있다. 유령도시 담론으로부터 이어져온 과잉 공급과 빈집의 문제는 중국의 많은 도시에서 새로운 현실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다만 유령도시와 빈집 담론은 지역적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전개되는 지속적인 도시 건설 과정과 새로이 개발된 도시 지역의 변화 양상을 간과하게 한다.

세계경제환경의 변화와 한일경제관계의 재정립을 위하여

한일경제관계는 2010년대 초반을 정점으로 점차 약화되어 왔다. 한일자유무역협정은 2003년에 협상을 개시하였지만 2004년에 좌초되었고 양국의 금융 협력의 하나인 한일통화스왑도 2013년에 재계약이 종료되었다. 더구나 2019년에는 일본의 수출규제로 인하여 양국 간 신뢰는 땅에 떨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