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쟁, 기후변화, 빈곤과 생계난, 더 나은 경제적 기회를 찾기 위한 열망… 아시아·아프리카 지역에서 이주를 촉발하는 요인은 많으며, 그만큼 난민과 이주민의 이동 현상 또한 각기각색이다. 전쟁과 환경재난을 피해 떠나온 난민과 경제적 기회를 찾아온 이주 노동자, 오랫동안 정착해온 디아스포라 공동체 모두 ‘이주’라는 한 단어로 묶일 수 있는 동시에, 한 단어로만은 정의될 수 없는 다양성을 가진다.

사람의 이동은 생활 환경과 경제적 위치가 변화한 난민과 이주민뿐만 아니라 이들을 받아들이는 수용국 사회에도 큰 변화를 가져온다.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이주가 수용국 사회에 끼치는 영향은 수용국의 정치·경제·사회적 환경과 상호작용하며, 이 과정에서 이주민에 대한 수용국 사회의 반응은 환대 또는 배척이라는 서로 다른 형태를 취하기도 한다. 한편 이주의 동역학은 새롭게 들어온 이주자뿐만 아니라 이미 이주해서 정착해 있던 디아스포라 공동체와도 관련되어 있다. 세계화와 경제적 통합이라는 변화 속에서 새롭게 나타난 이주의 동역학은 디아스포라 공동체와 송출국, 수용국 사이의 관계에도 영향을 미쳤다. 이처럼 이주와 이동은 그 원인뿐 아니라 수용국의 정치·사회·경제적 요인 또한 고려해야 하는 복합적인 현상이다.

이에 <다양성+Asia> 24호에서는 아시아·아프리카 각 지역 난민과 이주민의 이동 양상, 나아가 이를 통해 형성되는 디아스포라 공동체가 처한 다양한 상황을 살펴본다.

중앙아시아 고려인 장례문화에 나타난 ‘전통의 고수’와 ‘동화’ 사이의 혼종성

고려인들은 일반적으로 민족정체성 형성의 중요한 요소로 여겨지는 전통 종교와 언어를 소유하고 있지는 않지만, 지금까지 강한 민족정체성을 유지해 왔다. 이들이 민족정체성을 유지할 수 있었던 요소 중 하나는 전통 생활문화를 지켜온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중 대표적인 것이 장례문화이다.

디아스포라와 아시아 자본주의: 중국과 한국의 경험

1980년대 이후, 경제 발전을 우선 순위로 삼은 아시아 국가들은 국경과 시장을 개방하여 노동력과 자본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고자 했다. 이 과정에 일부 국가는 해외 디아스포라를 경제 발전의 중요한 자원으로 활용했다. 디아스포라 구성원들 또한 민족적 고국을 자신의 경제적 지위를 개선할 수 있는 기회로 인식했다.

조미아, 국가를 넘나드는 사람들: 태국 치앙마이 산악지대의 초국주의 실천

이 글은 태국 치앙마이 주변 산악지대(조미아)와 평지 사이를 오가는 카렌족 등 소수종족의 전략과 실천을 다룬다. 평지에 터를 잡고 인구를 끌어모아 도시를 세우려는 국가에 맞서서 사람들은 자유를 찾아 산으로 향했다. 산과 평지에 두 질서가 공존하며 인구 이동의 동학을 만들어냈다.

방문학자

“어딘가”로 향하는 고려인들의 여정: 우즈베키스탄 고려인 영화에 나타나는 정체성과 소속감

고려인은 소련 시기의 한인 디아스포라로, 여러 역사적 이유로 인해 19세기 한반도에서 러시아 극동으로 이주한 뒤 스탈린에 의해 중앙아시아로 강제로 이주되어 지금까지 중앙아시아에 거주하고 있다. 이질적이고 민족적으로 낯선 환경에 동화되는 과정에서 한국, 러시아, 소련, 중앙아시아, 유럽 문화가 혼합된 동시에 본래의 한민족 정체성이 변형되고 부분적으로 상실되었다.

유령도시에서 벗어나기: 중국의 도시 건설 과정과 지역시민권의 구성

최근 중국의 경제위기설은 부동산 시장의 침체와 맞물리며 빈집 문제를 다시 소환하고 있다. 유령도시 담론으로부터 이어져온 과잉 공급과 빈집의 문제는 중국의 많은 도시에서 새로운 현실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다만 유령도시와 빈집 담론은 지역적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전개되는 지속적인 도시 건설 과정과 새로이 개발된 도시 지역의 변화 양상을 간과하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