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로 보는 아시아의 경제

지난 반세기 동안 세계 경제는 전후 극복 과정과 냉전 시대를 지나 본격적인 세계화 시대에 진입함에 따라 급성장해왔으며, 특히 아시아는 이러한 성장 속에서 괄목할만한 성과를 이뤘다. 1960년 북아메리카와 유럽이 전 세계 GDP의 70%를 넘게 차지하던 때 불과 16%의 수준이었던 아시아는, 2019년 현재 전 세계 GDP의 규모의 1/3(36.2%)를 넘어섰다. 이는 북미와 유럽을 넘어 대륙별 GDP 중 가장 큰 수치이다.

그렇다면 아시아의 경제는 모두 비슷한 양상으로 성장하고 있을까? 본 호에서는 World Bank, IMF, ADB 등 여러 국제기구에서 제공하고 있는 데이터를 토대로 아시아의 경제 발전을 분석하였다. 특히, 아시아를 전체와 부분(역내)으로 나누어 다양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1997-98년 아시아 금융위기, 2007-2008년 미국발 세계 금융위기 등 숱한 위기 속에서 주춤하기도 했으나 아시아는 성장의 끈을 놓지 않고 계속 나아가고 있으며, 양적인 성장뿐 아니라 질적인 성장도 꾀하고 있다. 다만 석유와 같은 지하자원에 의존적인 경제구조를 가진 국가들은 유가 변동에 따른 경제 불안정성이 상당히 큰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또한 과거 소련의 체제 붕괴에 따른 영향으로 중앙아시아 국가의 경제적 상황은 동남아시아나 동아시아와는 다른 형태를 보이고 있다.

한편 성공적으로 COVID-19 팬데믹에 대응을 하고 있다고 알려진 동남아시아나 동아시아 국가들조차도 상당한 경제적 충격을 받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무역 의존도가 높은 국가나 태국처럼 관광이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큰 국가의 2020년 경제는 상당한 침체를 겪을 것으로 전망된다.

2015년 이후 레바논 반정부 시위: 탈종파주의를 위한 외침

이경수 (한국외국어대학교) 베이루트 폭발사고와 함께 터져 나온 성난 민심 2020년 8월 4일은 레바논 사람들에게 슬픔과 충격이 새겨진 날이다. 국가의 가장 주요 수출입 항구인 베이루트 항에서 두...

남아시아의 스마트시티는 어디쯤 와 있을까?

박양호(前 국토연구원장) 스마트 도시화(Smart Urbanization)의 물결과 스마트시티 스마트시티에 대한 정의는 실로 다양하지만 스마트시티 구조의 실상을 들여다보면 간단히 정의 내릴 수 있다. 스마트시티란 IT, 인공지능(AI), 환경기술...

베트남의 코로나19 대응은 어떻게 성공했을까: 경제, 정치, 문화, 보건의료적 차원의 이해

백용훈(단국대학교) 베트남 코로나19 감염 상황 코로나19 사태 발생 초기에 중국과 인접한 베트남에서 확진자 수가 현저히 적은 수준으로 발표되자 많은 사람은 베트남 정부에서 발표하는 통계치를 신뢰할 수...

팬데믹, 아시아 종교, 그리고 새로운 존재방식의 상상

정경일 (성공회대학교) ‘아시아’와 ‘종교’의 다양성 아시아는 하나가 아니다. 지리적으로 아시아는 동쪽으로 일본, 서쪽으로 터키, 남쪽으로 인도, 북쪽으로 러시아 일부에 이르는 다섯 아시아로 분류하는 광대한 지역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