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쟁, 기후변화, 빈곤과 생계난, 더 나은 경제적 기회를 찾기 위한 열망… 아시아·아프리카 지역에서 이주를 촉발하는 요인은 많으며, 그만큼 난민과 이주민의 이동 현상 또한 각기각색이다. 전쟁과 환경재난을 피해 떠나온 난민과 경제적 기회를 찾아온 이주 노동자, 오랫동안 정착해온 디아스포라 공동체 모두 ‘이주’라는 한 단어로 묶일 수 있는 동시에, 한 단어로만은 정의될 수 없는 다양성을 가진다.

사람의 이동은 생활 환경과 경제적 위치가 변화한 난민과 이주민뿐만 아니라 이들을 받아들이는 수용국 사회에도 큰 변화를 가져온다.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이주가 수용국 사회에 끼치는 영향은 수용국의 정치·경제·사회적 환경과 상호작용하며, 이 과정에서 이주민에 대한 수용국 사회의 반응은 환대 또는 배척이라는 서로 다른 형태를 취하기도 한다. 한편 이주의 동역학은 새롭게 들어온 이주자뿐만 아니라 이미 이주해서 정착해 있던 디아스포라 공동체와도 관련되어 있다. 세계화와 경제적 통합이라는 변화 속에서 새롭게 나타난 이주의 동역학은 디아스포라 공동체와 송출국, 수용국 사이의 관계에도 영향을 미쳤다. 이처럼 이주와 이동은 그 원인뿐 아니라 수용국의 정치·사회·경제적 요인 또한 고려해야 하는 복합적인 현상이다.

이에 <다양성+Asia> 24호에서는 아시아·아프리카 각 지역 난민과 이주민의 이동 양상, 나아가 이를 통해 형성되는 디아스포라 공동체가 처한 다양한 상황을 살펴본다.

디아스포라와 아시아 자본주의: 중국과 한국의 경험

1980년대 이후, 경제 발전을 우선 순위로 삼은 아시아 국가들은 국경과 시장을 개방하여 노동력과 자본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고자 했다. 이 과정에 일부 국가는 해외 디아스포라를 경제 발전의 중요한 자원으로 활용했다. 디아스포라 구성원들 또한 민족적 고국을 자신의 경제적 지위를 개선할 수 있는 기회로 인식했다.

기후 위기의 시대: 에티오피아 소작농들은 왜 도시로 가나?

기후 변화는 인간의 이동성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며, 이로 인한 대부분의 이동은 국경 내에서 일어난다. 기후 변화와 관련된 이동은 주로 영구적이지 않으며, 특히 농촌 지역에서 도시로의 이동이 주를 이룬다. 과거에는 대규모 기후 난민 발생에 대한 경고가 많았으나, 현재는 이러한 이동 현상을 종합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경제적, 사회적, 정치적 요인을 포함한 다차원적 접근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남아시아의 이주와 디아스포라 그리고 난민 위기

‘남아시아’는 ‘인도 아대륙’과 종종 혼용된다. 남아시아는 세계에서 가장 많은 이주자의 발원지이자 가장 많은 난민을 수용하는 지역권이다. 근대 이후 남아시아의 이주, 디아스포라, 난민 문제는 아대륙에 대한 영국 식민 지배의 역사와 밀접하다. 아대륙 사람들이 카리브해 등 세계 도처로 이주해 디아스포라를 형성한 것도 ...

방문학자

“어딘가”로 향하는 고려인들의 여정: 우즈베키스탄 고려인 영화에 나타나는 정체성과 소속감

고려인은 소련 시기의 한인 디아스포라로, 여러 역사적 이유로 인해 19세기 한반도에서 러시아 극동으로 이주한 뒤 스탈린에 의해 중앙아시아로 강제로 이주되어 지금까지 중앙아시아에 거주하고 있다. 이질적이고 민족적으로 낯선 환경에 동화되는 과정에서 한국, 러시아, 소련, 중앙아시아, 유럽 문화가 혼합된 동시에 본래의 한민족 정체성이 변형되고 부분적으로 상실되었다.

유령도시에서 벗어나기: 중국의 도시 건설 과정과 지역시민권의 구성

최근 중국의 경제위기설은 부동산 시장의 침체와 맞물리며 빈집 문제를 다시 소환하고 있다. 유령도시 담론으로부터 이어져온 과잉 공급과 빈집의 문제는 중국의 많은 도시에서 새로운 현실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다만 유령도시와 빈집 담론은 지역적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전개되는 지속적인 도시 건설 과정과 새로이 개발된 도시 지역의 변화 양상을 간과하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