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아시아

중앙아시아 초원에 피어난 고려인 한글문학

중앙아시아 고려인 한글문학은 연해주 일대 고려인들이 1937년 중앙아시아로 강제이주되면서부터 시작되었다. 강제이주 이듬해 필화사건이 일어나 고려인 한글문학은 매우 부자유하게 전개됐으나 1938년에 창간된 모국어신문 《레닌기치》 문예페이지를 통해 1980년대까지 크게 번성했다.

중앙아시아 이슬람을 바라보는 두 가지 시각: 극단주의 이슬람인가? 전통적인 관습의 이슬람인가?

이 글은 중앙아시아 이슬람을 바라보는 두 가지 시각, 즉 극단주의 이슬람인가? 전통적, 관습의 이슬람인가? 라는 주제로 구성되었다. 특히 중앙아시아에서 이슬람 신정국가를 주장하는 이념으로 작동했던 1990년대, 2000년대 이슬람 원리주의는 중앙아시아 지역권의 전통적 이슬람보다 수용적이지 못했다.

‘신 돌궐제국’의 부활?: 튀르크 국가 기구를 통한 중앙아시아와 튀르키예의 연대

중앙아시아의 튀르크 민족 국가들은 튀르크 국가 기구(Organization of Turkic States)를 조직하여 협력과 연대를 강화하고 있다. 튀르키예, 아제르바이잔과 중앙아시아 튀르크 국가들은 튀르크 국가기구를 통해 경제, 문화, 사회 전반의 협력을 약속하였다. 19세기 튀르크 민족들의 연대를 주장하는 범튀르크주의가 다시 부활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