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 지역의 다양한 사회는 각기 고유한 문화를 가지고 있으며, 연애와 결혼 역시 마찬가지다. 다양한 연애와 결혼 형태는 아시아의 여러 지역이 가진 독특한 문화와 사회적 환경을 반영한다. 본 2022년 3월호(통권 16호)에서는 결혼과 연애라는 주제를 중심으로 아시아 각 지역에서 전통과 변화 사이의 관계가 어떠한 양상을 보이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방문학자
명나라 도자기를 한반도에 가져온 일본 하카타(博多) 상인
15~16세기 하카타 상인들은 공식 사신으로 위장하여 조선과 유구국의 공식 교류에 개입하였으며, 일본의 지방세력과 협력하여 명나라 도자기를 조선 왕실로 공급하였다. 고고학 자료와 문헌을 통해 더 많은 수량의 명나라 도자기가 사무역으로도 조선에 유입된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하카타 상인들의 활발한 활동 시기에 조선의 도자기가 유통된 고고학적 증거도 하카타-대마도-창원 내이포의 경로를 따라 발견되었다. 이러한 하카타 상인들의 동북아 자기 유통은 기존의 사회문화적 맥락을 벗어나 새로운 사용가치를 창출하는 계기로 작용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