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avash Saffari (Seoul National University)
In a frigid afternoon on Sunday January 12, my wife and I attended a public memorial service for the victims of the Ukraine International Airlines Flight PS752. The service was held at the University of Alberta in the northern Canadian city of Edmonton, where I have been spending my sabbatical semester for the past few months. We joined a crowd of more than 2,000 people braving the -38 C temperature to commemorate over a dozen victims with ties to the city and the university. Among the speakers were friends and relatives of the victims, university officials, and state dignitaries including Prime Minister Justin Trudeau, who described the plane crash as “a Canadian tragedy.” Of the 176 people aboard, 57 held dual Iranian-Canadian citizenships, another 138 were on their way to Canada as international students, permanent residents, or visitors.
Three days before the memorial service, Trudeau told reporters he had received intelligence confirming the crash was caused by an Iranian missile. At first, the Iranian state denied any wrongdoing. But as evidence mounted and international pressure (from Ukraine and Canada in particular) grew, a new official narrative began to emerge. On January 11, in a televised statement, General Amir Ali Hajizadeh, who heads the aerospace division of Islamic Revolutionary Guard Corps (IRGC), announced the plane had been hit due to “unintentional human error,” adding “I wish I was dead and such an incident hadn’t happened.” Shortly after this, President Hassan Rouhani offered his “regrets” to the mourning families. Foreign Minister Javad Zarif too expressed his “apologies” to the people of Iran, though he ultimately placed the blame on “US adventurism” as the main cause of the present crisis.
Tensions between Tehran and Washington have existed since 1979 when a popular revolution toppled Iran’s authoritarian US-backed monarchy. The present crisis to which Foreign Minister Zarif refers, however, is much more recent. It began in 2018 when the United States’ government withdrew from the “Iran nuclear deal,” reinstated all previous sanctions, and imposed new punitive measures against Iran and its trading partners. The economic and human costs of sanctions on Iranian society are immeasurable. The International Monetary Fund assesses that sanctions have caused “severe distress,” and the Human Rights Watch reports that “US sanctions have harmed Iranians’ right to health” and their access to “vital medicines and medical equipment.” President Trump’s “maximum pressure campaign” against Iran has also increased fears about the outbreak of war. In a July 2019 column in The Guardian, former Iranian president Mohammad Khatami warned that US government’s “brutal sanctions” and “renewed military threats” were making full-scale war between the two countries “increasingly likely.”
When Iranian Major General Qasem Soleimani was killed by a US drone strike outside of Baghdad on January 3, the likelihood of war appeared to have increased to an alarming level. The Iranian state and regional allies such as the Lebanese Hezbollah vowed retaliation, which came January 8 when Iran launched ballistic missiles at two Iraqi bases hosting US forces. IRGC’s claims that the strikes had killed at least 80 American troops were quickly dismissed, as both Baghdad and Washington confirmed there had been no Iraqi or American casualties. It was also revealed that Iran had informed the Iraqi Prime Minister Adel Abdul Mahdi of the coming strikes, and that Iraqi officials informed the US military. Even the IRGC seemed to walk back their previous claims, announcing the missile strikes “did not intend to kill.” It soon became evident the Iranian strikes were, in the words of one New York Times columnist, “intended to save face rather than inflict casualties.” In a Tweet, Foreign Minister Zarif indicated that Iran has “concluded” its retaliation and does “not seek escalation or war.” Zarif’s tone was reciprocated by US President Donald J Trump who indicated that military de-escalation was possible.
As the threat of war appears to have subsided momentarily, the Islamic Republic is confronted now with yet another episode of its crisis of legitimacy at home. Widespread social and political dissent have given rise to several protest movements in recent years. In June 2009 millions filled the streets to protest against alleged fraud in a disputed presidential race that saw the re-election of incumbent Mahmoud Ahmadinejad. Then, in the final days of 2017, Iran once again witnessed nationwide protests, this time against ever-worsening economic conditions and pervasive corruption at the highest levels of the state. Economic protesters returned to the streets in November 2019 after the government announced a sudden hike in fuel prices. The state responded with unprecedented violence. According to Amnesty International, the use of “lethal force” by authorities resulted in the killing of at least 304 people. A subsequent report from Reuters put the estimate much higher, at about 1,500. By the end of November, it seemed as if the protests had been effectively subdued. But when the Iranian state finally admitted its responsibility in the plane crash tragedy, outraged protestors took to the streets again expressing disenchantment with the entirety of Iran’s political system, including the IRGC and the Supreme Leader, Ayatollah Ali Khamenei. Already dissatisfied with the state’s political repression and economic mismanagement, many of them see this tragic incident as a costly display of a systemic failure in the Islamic Republic.
Tweeting in English and Persian, President Trump has expressed support for protestors in Iran, suggesting he may take action if the Iranian state “massacres” protestors or blocks internet access. In Iran, however, Trump’s support for the protestors is viewed with skepticism. Many of the same workers, students, women’s rights activists, and democracy activists who lead the ongoing protests in the country are equally firm in their opposition to foreign interference. This sentiment is captured in a January 11 statement by a group of students at the Tehran Polytechnic University, one of Iran’s oldest universities with a long history of student activism. The statement blames the present crisis on “US adventurism” in the Middle East and “a repressive government” in Iran. It condemns those segments of the Iranian opposition that depend on “outside powers,” and it calls on the people of Iran to “return to popular politics.”
Around the world, including in Canada and South Korea, many people are following the events in the Middle East with anxious anticipation. As somebody who was born in Iran, and who has family and friends there, and who reads and writes and teaches about Iran and the Middle East nearly every day, I too follow the news from here in Canada with a mixture of fear of war and hope for a better future. I think Prime Minster Trudeau is correct to recognize the tragedy of Ukraine International Airlines flight PS752 as a reminder that innocent civilians are the first casualties of war and conflict, and I hope that other world leaders heed his call for diplomacy and de-escalation. A global call for peace may be the most effective expression of solidarity with the highest aspirations of the Iranian people for freedom and equality.
이란: 전쟁의 망령 혹은 혁명의 가능성
(번역: 아시아언어문명학부 석사과정 김건하)
얼어붙을 듯 추웠던 1월 12일 일요일 오후, 내 아내와 나는 우크라이나 국제 항공 PS752편 사고의 희생자들을 기리는 추도식에 참석하였다. 추도식은 내가 지난 몇 달 간 연구학기를 보내고 있는 캐나다 북쪽의 도시인 에드몬턴에 위치한 앨버타 대학교에서 거행되었다. 우리는 에드몬턴 시와 앨버타 대학교와 관계를 맺고 있던 십여 명의 희생자를 기리기 위해 영하 38도의 추위를 뚫고 모인 2,000명이 넘는 이들과 자리를 함께 했다. 희생자들의 친구들과 친척들, 대학 관계자들, 캐나다 정부 고위인사들이 추도사를 읽었으며, 같이 참석하였던 쥐스탱 트뤼도 총리도 추락 사고를 “캐나다의 비극”이라고 칭하였다. 176명의 탑승자 중 57명은 이란과 캐나다 이중 국적자였으며, 138명은 유학생이나 영주권자, 방문객으로 캐나다를 향해 가던 길이었다.
추도식 사흘 전, 트뤼도 총리는 여객기가 이란의 미사일에 격추되었다는 사실을 확정해주는 첩보를 받은 바가 있었다고 기자들에게 밝혔다. 사태 초기에 이란 정부는 그들에게 아무 잘못이 없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증거들이 드러나고 국제적인 압력, 특히 캐나다와 우크라이나로부터의 압력이 거세지자 새로운 공식 성명이 등장하기 시작했다. 1월 11일, 이슬람 혁명군의 공군을 지휘하는 아미르 알리 하지자데 장군은 TV 연설에서 비행기가 “고의가 아닌, 인간의 실수”에 의해 격추되었으며 그 사고로 인해 “자신이 죽었으면 좋겠다고, 그리고 그러한 사고가 일어나지 않았기를 바랐다”고 발표했다. 이내 하산 로하니 대통령은 유가족에게 “유감”을 표했다. 외무부 장관 자버드 자리프 역시 이란의 국민들에게 “사과”의 뜻을 표명하면서도, 궁극적으로 현 사태의 근본적인 원인을 “미국의 모험주의”로 꼽았다.
이란과 미국 사이의 외교적 긴장 관계는 미국의 지원을 받던 이란의 권위주의적 왕정이 무너진 1979년부터 존재해왔다. 하지만 자리프 외무부 장관이 언급한 현재의 사태는 최근의 일로, 2018년 미국 정부가 “이란 핵 협상”을 폐기하고 이란에 대한 경제적 제재를 모두 부활시키며 이란과 이란의 무역국들에 대한 추가적인 징벌 조치를 도입하면서 시작된 일이다. 경제 제재는 이란 사회에 막대한 경제적, 인적 비용을 초래했다. 국제통화기금은 미국의 경제 제재가 “극심한 고통”을 일으켰다고 평가하였으며, 국제인권감시기구는 “미국의 경제 재제는 이란인들의 건강권”과 “필수의약품과 의료 기구”에 대한 접근성을 침해했음을 보고하였다. 트럼프 대통령의 대 이란 “최대 압박전략” 역시 전쟁이 일어날 수 있다는 두려움을 증폭시켰다. 2019년 7월 가디언 지의 기고란에서 모함마드 하타미 이란 전 대통령은 미국 정부의 “가혹한 경제 제재”와 “군사적 위협의 재발”은 두 국가 사이의 전면전을 “더욱더 가능한 일”로 만들고 있음을 경고했다.
1월 3일 이란의 거셈 솔레이머니 장군이 바그다드 외곽에서 미국의 드론 공격으로 사살되었을 때, 전쟁이 일어날 가능성은 놀랄 정도로 위험한 수준까지 증가한 것으로 보였다. 이란 정부와 레바논의 히즈볼라 등 역내 동맹 세력들은 복수를 천명하였고, 이내 이란은 미군이 주둔하는 이라크 내의 2개의 군사 기지에 대해 탄도 미사일 공격을 가하였다. 그러나 미사일 공격으로 미군 80명 이상이 희생되었다는 이슬람 혁명 수비대의 주장은 곧 희생자가 없었다는 이라크와 미국 정부의 공식 발표에 의해 빠르게 일축되었다. 또한 사전에 이란 정부가 아딜 압둘 마흐디 이라크 총리에게 사전에 공격사실을 통지하였고, 이라크의 관료들이 이를 미군에게 알렸다는 것이 드러났다. 이내 이슬람 혁명 수비대도 “살상을 목표로 한 것이 아니”라고 발표하며 그들의 기존 주장으로부터 한 발짝 물러섰다. 뉴욕 타임즈의 한 평론가의 말을 빌리자면, 이란의 미사일 공격은 “피해를 가하기보다는 체면을 세우기 위한” 것이었음이 곧 명백해졌다. 자리프 외무부 장관은 트위터를 통해 이란이 보복을 “완료”했고 “상황의 악화나 전쟁을 원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트럼프 미 대통령 역시 자리프 장관과 마찬가지로 군사적 긴장 완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시사하였다.
전쟁의 위협이 잦아든 것처럼 보인 시점에서 이슬람 공화국은 이제 국내적으로 정권의 정당성이 또다시 위기에 처하게 되었다. 광범위한 사회적, 정치적 불만은 최근 몇 년 간 수 차례의 시위를 통해 표출되어왔다. 2009년 6월, 수백만 명의 시위대는 마흐무드 아흐마디네자드 대통령의 재선이 부정 투표에 의한 것이라고 주장하며 들고 일어났다. 그리고 2017년 연말, 더더욱 악화되는 경제와 국가 고위층에 만연한 부패에 대항하여 전국적인 시위가 일어나기 시작하였다. 당시 경제적인 곤궁으로 거리에 뛰쳐나왔던 시위대는 2019년 11월 정부가 기습적으로 연료 가격을 올리자 다시 집결하였다. 정부는 전례 없는 폭력으로 시위대를 진압했다. 국제앰네스티에 의하면 정권의 “살인적인 폭력” 행사로 최소 304명이 사망했다. 연이은 로이터 통신의 보도는 그보다 훨씬 많은 1,500명가량이 사망했다고 추정한다. 11월 말에 이르러 전국적인 시위는 효과적으로 진압된 것처럼 보였다. 그러나 이란 정부가 여객기 추락 참사에 대한 책임을 마침내 인정하자, 분노한 시위대는 재차 거리를 점령하고 이란의 정치 시스템과 이란 혁명 수비대는 물론 최고 종교 지도자 아야톨라 알리 하메네이에 대한 환멸을 표출하였다. 이미 이란 정부의 정치적 탄압과 경제 파탄에 대해 불만을 가지고 있던 이들에게 이러한 비극적인 여객기 추락 사고는 이슬람 공화국이 구조적으로 실패하였음을 보여주는 값비싼 증거로 꼽히게 된 것이다.
트위터를 통해 트럼프 대통령은 영어와 페르시아어로 시위대에 지지의 뜻을 표하며 이란 정부가 시위대를 “학살하거나” 이란의 인터넷 망을 폐쇄한다면 모종의 조치를 취할 것임을 시사했다. 하지만 이란에서는 이와 같이 트럼프 대통령이 시위대를 지지하는 것에 대해 회의적인 시각이 대부분이다. 현재 이란에서 진행되고 있는 시위를 이끌고 있는 대부분의 노동자, 학생, 여성 인권 활동가, 민주주의 운동가들은 외세의 개입에도 확고하게 반대하는 입장이다. 이러한 민중 감정은 오랜 학생 운동의 전통을 지닌 유서 깊은 대학교 중 하나인 테헤란 폴리테크닉 대학교 학생들의 1월 11일 성명에서 포착할 수 있다. 이 성명은 현재의 사태가 중동에서의 “미국의 모험주의”와 이란의 “억압적인 정부”에 의한 것이라고 비판한다. 또한 이 성명은 “외세”에 의존하는 반정부세력을 비판하며 이란 국민들이 “대중 정치(popular politics)로 회귀”하기를 요구하고 있다.
캐나다와 한국을 포함한 세계 도처에서 많은 사람들은 불안한 마음으로 중동의 소식에 주의를 기울이고 있다. 이란에서 태어났고, 이란에 가족과 친구들이 있고, 또한 이란과 중동에 대해 거의 매일 글을 읽고 쓰고 가르치는 한 사람으로서 나 역시 이곳 캐나다에서 전쟁에 대한 두려움과 보다 나은 미래에 대한 희망을 갖고 중동의 뉴스를 지켜보고 있다. 트뤼도 총리는 우크라이나 국제선 PS752편의 비극을 통해 결국 전쟁의 첫 희생자들은 무고한 민간인들이라는 사실을 다시 깨달을 수 있었다고 하였다. 나 역시 이에 동의하며, 세계 지도자들이 외교와 군사적 긴장 완화를 요청하는 트뤼도 총리와 뜻을 같이 하기를 희망한다. 전지구적으로 모든 이들이 평화를 요구하는 것이 이란 국민의 자유와 평등에 대한 숭고한 열망과 가장 효과적으로 연대를 하는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저자소개
시아바시 사파리(Siavash Saffari) 교수(ssaffari@snu.ac.kr)는
서울대학교 아시아언어문명학부의 서아시아언어문명전공 조교수로 재직 중이다. University of Alberta에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콜롬비아 대학의 중동, 남아시아, 아프리카 전공에서 박사 후 연구원으로 지냈다. 현재 근대 이란 지성사, 19세기 이후 이슬람 사상, 근대성과 식민성의 역사에 대해 가르치고 있다. 관련 저서 Beyond Shariati: Modernity, Cosmopolitanism and Islam in Iranian Political Thought가 2017년에 출간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