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북아시아
동남아시아
중앙아시아
서아시아
남아시아
아시아도시
방문학자
Search
2022년 3월 (16호)
ABOUT
SNUAC
지난호보기
2018년 6월 (1호)
2018년 9월 (2호)
2018년 12월 (3호)
2019년 3월 (4호)
2019년 6월 (5호)
2019년 9월 (6호)
2019년 12월 (7호)
2020년 3월 (8호)
2020년 6월 (9호)
2020년 9월 (10호)
2020년 12월 (11호)
2021년 5월 (12호)
2021년 6월 (13호)
2021년 9월 (14호)
2021년 12월 (15호)
DiverseAsia
동북아시아
동남아시아
중앙아시아
서아시아
남아시아
아시아도시
방문학자
동남아시아
인도네시아 사람들의 성 관념과 로맨스
조윤미(독립연구자) 통념상 연애라 하면, 주로 젊은 미혼의 두 남녀가 평생의 반려자를 만나기 위해 서로를 탐색하는 과정으로써, 두 사람 간에는 정서적 친밀성과 상대에 대한 욕정의 정서가...
말을 탄 동남아의 제복: 정치권력에서 경제권력까지
장준영 (한국외대 동남아연구소) 2020년 프리덤하우스(Freedom House)에 따르면 2009년 94점이었던 미국의 민주주의 지수는 2019년 86점으로 하락했다. 세계는 트럼프(Donald M. Trump) 행정부가 반대파 인사를 탄압하고, 국가기관을 장악했으며 여론을...
아세안 포괄적 회복프레임워크(ACRF)와 신남방정책플러스
이요한(한국외국어대학교) 코로나19로 인한 ASEAN 경제 타격 코로나19는 전 세계적으로 전대미문의 영향을 미쳤으며 아세안(ASEAN) 역시 예외는 아니다. 2020년 1월 13일 태국에서 아세안 내 코로나19 첫 확진자가 발생한...
치앙라이, 국경시장의 리듬으로 보는 국경 도시
베트남의 코로나19 대응은 어떻게 성공했을까: 경제, 정치, 문화, 보건의료적 차원의...
코로나19 펜데믹 시대 한·아세안 교역 투자는?
코로나19 이후 아세안 경제
유사한 역사를 경험한 동남아시아 나라들이 왜 다양한 정치체제를 갖게 된 것일까?
금수저와 창업자: 금권 시대 인도네시아의 청년정치
코로나19와 아세안 초기 대응의 성과와 함의: 의장국 베트남, 싱가포르, 인도네시아 사례와...
이주민의 싱가포르 대 거주민의 싱가포르
말레이시아의 청년세대, 현실의 문제와 새로운 희망 사이에서
내겐 너무 먼 평화: 전환기 미얀마 청년들의 발전과 평화에 대한 다층성
현대판 향신료 전쟁, 인도네시아에 진출한 한국기업의 도전과 기회
모던 베트남(Modern Vietnam)을 위한 한국의 역할: 기술이전과 인력개발을 중심으로
태국의 고속철도 건설: 이동과 연결의 인프라 정치학
신남방정책 시대, 아세안 경제적 연계성에 대한 근원적 고찰
인도네시아 조코위 대통령 재선은 어떤 의미를 갖는가?
국제이주로 보는 한-아세안 지역협력
30 Years of ASEAN-Korea Relations: What are the Future Directions of...
당의 귀환: 갈림길에 선 베트남
평화로의 험난한 길 – 필리핀 무슬림 분쟁
한-아세안관계 30주년, 신남방정책의 나아갈 방향은?
신성모독죄: 인도네시아의 종교 자유와 관용의 축소
아세안-북한 관계와 한반도 평화
한국, 일본 및 필리핀 사람들은 사회복지를 원하지 않는가?
쾀뻰타이(Thainess): 태국의 태국에 의한 태국을 위한!
미얀마 민간정부는 실패하는가?: 로힝자족을 둔 군부와 대립 격화 그리고 국제적...
아세안의 도시와 스마트시티
2018년 5월 9일 총선 이후, 말레이시아는 어디로 가는가?
태국호 어디로 가나?
대륙부 아세안의 국경을 넘는다